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req.body
- async
- mongoose delete
- Axios delete
- javascript
- mongoose find
- CSS
- 웹개발
- express 프로젝트 시작하기
- Axios put
- promise
- mongoose update
- await
- 프론트엔드
- res.set
- mongoose create
- css 기초
- mongoose populate
- Axios get
- HTML
- req.queries
- http
- 자바스크립트
- res.render
- 파이썬
- res.status
- Axios post
- node.js란
- req.get
- req.params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pythonic (1)
모스카토

1. import this 2. print() 값을 출력하는 함수. print() 함수 안에 문자열 2개를 쉼표(,)로 넣으면 띄어쓰기가 포함되서 출력된다. 기본적으로 print()함수는 함수가 끝나면 커서가 아래 줄로 내려간다. 즉, print('Hello World!') 줄이 실행되면 Hello World!가 출력된 후 커서가 아래줄로 내려가있고, print()가 실행되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은 후 다시 커서가 아래줄로 내려가고, print('Welcome!')이 출력되고 커서가 아래로 내려간 후 끝난다. 3. input() 사용자에게 값을 입력받는 함수. input() 안에 문자열을 넣으면 문자열이 출력된 후 입력할 수 있는 칸이 뜬다. input() 함수는 아래와 같이 split() 함수와 함께 ..
파이썬
2020. 8. 25. 2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