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es.render
- 프론트엔드
- res.status
- express 프로젝트 시작하기
- Axios get
- Axios delete
- Axios post
- promise
- mongoose delete
- CSS
- async
- css 기초
- javascript
- Axios put
- node.js란
- 파이썬
- HTML
- mongoose populate
- req.body
- 웹개발
- req.queries
- mongoose create
- res.set
- mongoose update
- 자바스크립트
- req.params
- http
- await
- mongoose find
- req.get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2)
모스카토
1. MongoDB = 대표적인 NoSQL, Document DB humongous의 mongo.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1. NoSQL = Not Only SQL sql 사용 안함 데이터를 유연하게 저장 RDB 관계형 db sql 을 사용 데이터가 구조화되어 있음. → NoSQl 을 사용하는 이유 : 사전작업 없이 db를 사용할 수 있어 프로젝트 진행이 빠르다 2. Document DB : 데이터를 Document로 저장한다. Database > Colletion > Document Database Collection : SQL 에서의 table. document 의 구조를 정의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document를 저장. Document : mongodb에 저장되는 자료. BSON 자..
1. Express.js 의 Middleware : HTTP 요청과 응답 사이에서 단계별 동작을 수행하는 함수 HTTP 요청이 들어오는 순간 시작. HTTP 응답이 마무리 될 때까지 미들웨어 동작 사이클이 실행 된다. Middleware 는 Request, Response 객체를 처리하거나 다음 미들웨어를 실행한다. 2. Middleware 작성 ① ( req, res, next ) 를 인자로 받으면 middleware 로 작동할 수 있다. req : Reauest 객체를 받아 처리 res : Response 객체를 받아 처리 next : 다음 middleware를 실행 ② next() 함수를 호출해야 미들웨어 사이클이 멈추지 않는다. 적용되는 위치에 따른 미들웨어 종류 1. 어플리케이션 미들웨어 : u..
1. 웹이란 ? = World Wide Web 인터넷상에서 동작하는 모든 서비스. 일반적 의미 : 웹 브라우저로 접속해서 이용하는 서비스, 웹사이트. 2. 웹 서비스 동작 방식 사용자 :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에 url 입력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 :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http 요청 (Request). 서버 : http 응답( Response )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 : 응답을 시각화 정적 웹 vs 동적 웹 1. 정적 웹 Web 1.0 :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는 단방향 통신. Link를 통한 페이지 이동 정도만 가능하고, 변하지 않는 html 파일로 이루어져 있다. 2. 동적 웹 Web 2.0 :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양방향 통신.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유기적으로 통신하며 동작한..
1. NPM 이란 ? = Node Package Manager Node.js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필수적인 도구 ① 온라인 저장소와 커맨드라인 도구로 구성된다. 온라인 저장소 :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도구들이 업로드되는 저장소. 커맨드라인 도구 :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명령어 제공. ② npm을 사용하면 프로젝트의 의존성 관리가 쉽다. dependency (의존성) : 프로젝트는 다양한 라이브러리에 의존하여 실행됨. 그 라이브러리들을 dependency 라고 한다. * 라이브러리 :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의 묶음. 다른 사람이 구현한 코드를 사용하는 방법. node.js에서는 패키지라고도 부른다. 2. NPM 사용하기 1. $ npm init : 프로젝트 생성하기 * 프로젝트를 생성할 디렉토리 안에서 ..
1. Node.js 이해하기 Node.js 등장 배경 web 2.0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증가하면서 구글에서 v8 엔진(오픈소스) 개발 -> 자바스크립트 실행 속도가 빨라짐 -> v8 엔진을 사용해 Node.js가 개발됨. Node.js 는 자바스크립트를 어느 환경에서나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실행기이다. 기존에는 JavaScript를 브라우저에서만 실행할 수 있었다. 웹 프론트 개발자의 언어로 사용됐다. Node.js로 인해 크로스 플랫폼(어느 환경에서든) 실행 가능해졌다. 동작의 제한이 거의 없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됐다. 2. Node.js 특징 싱글 쓰레드의 한계를 대체하기 위해 비동기 방식을 사용하고, 비동기 구현을 위해 이벤트 기반의 동작 방식을 사용한다. 1. 싱글 쓰레..
1. Axios란 ? Axios API : 웹 브라우저와 Node.js를 위한 HTTP 비동기 통신 라이브러리. Promise 객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짐. Ajax 처럼 API를 이용한 비동기 통신을 할 때 주로 사용한다. Ajax ( 비동기 자바스크립트 ) : 브라우저의 XMLHttpRequest객체를 이용하여 화면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 일부 변경된 데이터만 로드하는 비동기 처리. React에서 OpenAPI를 이용할 때 Axios를 주로 사용한다. Fetch와 Axios의 차이점 Fetch API : HTTP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① Fetch는 내장함수이고 Axios는 설치해야한다.② Axios의 브라우저 호환성이 더 좋다.③ Axios는 JSON 자동 변환, 응답 시간 초과 설정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