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카토

파이썬 자료형 본문

파이썬

파이썬 자료형

라리라밤 2020. 8. 25. 23:54

파이썬의 자료형은 다른 언어에 비해 자료형끼리 변환이 쉽고,

변수를 만들 때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1. 숫자형

[1] 정수형 int (Integer)

정수를 변수에 저장

type() 함수는 변수의 자료형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int() 함수는 실수를 버림으로 정수형으로 바꿔준다.

int() 함수

[2] 실수형 float 

float() 함수

n 을 float() 함수에 넣으면 정수였던 n 을 실수로 바꿔서 보여준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다시 type(n) 을 해보면 n의 자료형이 아직 int임을 알 수 있다.

변수 n 의 자료형을 실수로 바꾸고 싶다면 다시 float() 함수의 결과값을 다시 n 에 대입해줘야 한다.

이것은 다른 함수에도 적용된다.

[3] 복소수

복소수는 제곱해서 마이너스가 나오는 수로 보통 a + bi 형태로 표현한다.

complex() 안에 숫자 4, 6 2개를 넣으면 아래와 같이 4 + 6j 의 복소수가 된다.

type() 함수를 통해 complex 즉, 복소수임을 알 수 있다.

complex() 함수

혹은 아래의 c1과 같이 직접적으로 실수 + 실수j 의 형태를 통해 만들 수 있다. 

복소수만드는법 2

 

2. 문자열 string

파이썬에서는 문자열에 + 와 *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문자열 더하기

s1 과 s2에 든 문자열을 + 연산하여 출력하면 결과는 두번째 줄처럼 붙어서 나온다.

쉼표로 구분하여 출력하면 띄어쓰기가 사이에 포함된다.

문자열 곱하기

* 연산을 하면 위와 같이 문자열이 반복된다.

파이썬에는 문자열을 입력값으로 받는 함수가 여러개 존재한다.

 [ split() ]  : sentence에 든 문자열을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형태로 저장한다.

구분자는 문자열의 단어와 단어를 구분하는 기준을 의미하고, 디폴트는 띄어쓰기이다.

split() 함수 안에 원하는 구분자를 넣을 수 있다. 

split() 함수

 [ join() ]  : 문자열의 글자 사이사이에 구분자를 넣는다.

리스트에 사용하면 리스트의 각 요소 사이사이에 구분자를 넣어 문자열로 합친다.

아래에서는 ' '(띄어쓰기) 를 구분자로 join했다.

join() 함수

split() 과 join() 은 서로 반대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 upper() ], [ lower() ]  : 대문자로, 소문자로 변환한다.

upper(), lower() 함수

 [ strip() ]  : 문자열 양 끝에서 입력한 글자를 잘라낸다.

strip() 함수

 [ count() ]  : 특정 값의 개수를 반환. 

 [ index() ]  : 특정 값의 인덱스를 반환

count() 와 index()는 문자열뿐만 아니라 리스트에서도 사용된다.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das 기초  (0) 2021.04.30
파이썬 시작  (0) 2020.08.2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