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ss 기초
- res.render
- mongoose delete
- req.queries
- mongoose find
- javascript
- http
- Axios post
- 프론트엔드
- 파이썬
- 웹개발
- express 프로젝트 시작하기
- node.js란
- Axios put
- Axios delete
- promise
- res.status
- HTML
- req.get
- 자바스크립트
- CSS
- mongoose populate
- await
- async
- mongoose create
- mongoose update
- req.body
- req.params
- res.set
- Axios get
- Today
- Total
모스카토
프론트엔드 기초 본문
[배경지식]
1. 웹사이트 제작할 때 고려할 사항
1. 웹 표준 : 웹 사이트를 작성할 때 따라야 하는 공식 표준이나 기술 규격
* 잘지키면 검색엔진에서 상단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진다.
2. 웹 접근성 : 사용자의 장애여부와 상관 없이 모두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
3 . 크로스 브라우징 : 모든 브라우저의 종류, 버전 또는 모든 기기에서 사이트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는것.
2. html문서 기본구조
<!DOCTYPE html> html5 언어로 구성돼있다고 선언.
<html></html> 모든 내용을 감싸는 태그 -> 문서의 시작과 끝을 의미
<head></head> 웹사이트의 간단한 요약정보,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는다.
<meta charset="UTF-8"> character setting : 문자열 설정 / UTF-8 : 모든 문자코드를 보여줄 때 주는 속성. 한글이 깨질때 확인하기
<title></title> 상단탭 제목
<body></body>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에게 보이는 부분, 태그 자체도 컨텐츠가 될수있다.
3. CSS
스타일 적용 우선순위는 style > id > class > type 이다.
4. 프로그래밍이란?
개발자가 컴퓨터와 소통하는 방법
[ html 이란? ]
1. 웹을 구성하는 요소
① html = hyper text markup language : 눈에 보이는정보, 특정 구역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언어
② css = Cascading Style Sheets : 디자인 스타일링
③ javascript : 웹사이트에 기능과 동적효과를 부여한다.
2. 태그 구성요소
<열린태그 속성="속성값"> 컨텐츠 </닫힌태그>* 속성 : 태그의 추가정보* 속성값 : 속성에 값을 줌
3. html 주요태그
1. 주석 : <!-- 코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내용 작성 -->
2. <img>
src : 이미지 파일경로
alt : 웹사이트가 이미지를 출력하지 못했을 경우 텍스트 정보로 대체
3. <h></h>
heading 제목, 부제목, h뒤에 숫자가 작을수록 큰 폰트크기. 1~6까지 * h1은 가장 중요한 정보, html문서 하나에서 한번만 사용
4. <p></p>
paragraph 본문내용, 문단을 넣을 때 사용.
5. <ul><li></li></ul>
unordered list 순서가 없는 리스트 생성. 메뉴버튼 만들때 사용되는 태그
6. <ol><li></li></ol>
ordered list 순서가 있는 리스트 생성.
7. <a></a>
href="링크주소" : 이동할 링크 주소 입력
target="_blank" : 새로운 탭에서 링크열기
4. 공간을 만들때 사용하는 태그
1. <header>
웹사이트의 상단영역, 머리글, 일반적으로 로고와 내비게이션을 담고 있다.
2. <nav>
로고와 navigation 메뉴버튼을 담는 공간, ul li a 태그와 함께 주로 사용함
3. <main>
본문영역, 안에 article태그로 구분가능
* role = "main" 프로퍼티 추가 필수 : ie에서 main 태그를 지원하지 않아서
4. <article>
태그내에 구역 대표 타이틀 h태그 하나이상 존재해야함.
5. <footer>
웹사이트의 하단영역, 웹사이트 소유 회사정보, div : 임의의 공간
5. html의 두가지 성격
1. Block요소 : 자동으로 줄바꿈 현상이 나타남. 넓이, 높이를 설정하여 공간을 만들수 있다. 상하배치작업이 가능하다
2. Inline 요소 : 줄바꿈현상 없이 x축으로 정렬된다. (한줄에)공간을 만들 수 없고, 상하 배치작업이 불가능하다.
[ css 란? ]
1. CSS = Cascading Style Sheet
1. css의 역할 : 레이아웃과 스타일 정의
2. css 사용방법 : 선택자 { 속성 : 속성값; }
선택자 : 디자인을 적용할 html영역
속성 : 어떤 디자인을 지정할지 선택
속성값 : 디자인의 값을 무엇으로 줄지 , 세미콜론 필수입력.
3. css 연동방법 세가지
1) inline style sheet
html태그 안에 style속성을 통해 css를 준다
2) Internal Style sheet
head태그에 style태그 <style></style> 를 통해 css를 준다.
3) external style sheet -> 가독성과 유지보수 장점
css 파일을 생성하고 head태그에 link태그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를 통해 연동
* 열린태그, rel="stylesheet" 포함-> rel속성 : 연동한 파일이 어떤 속성인지 , href안에 css파일 경로
2. css 선택자
1. type selector: 태그를 이용해 선택 그냥 태그명
2. class selector : 클래스 이름으로 선택 .클래스이름
3. id selector : id로 선택 #아이디
3. 부모자식관계
1. 부모자식관계 : 부모태그와 부모 태그 한 칸 안에 있는 태그의 관계
<div>
<h1>hello</h1> // body > h1
</div>
2. 형제관계 : 같은 부모 안에 같은 들여쓰기로 있는 태그들의 관계
<div>
<h1>hello</h1> // h1 + p
<p>welcome</p>
</div>
3. 자손관계 : 부모 태그와 부모태그 안에 있는 모든 태그들간의 관계
<div>
<h1>hello</h1> // div li
<ul>
<li>name</li>
<li>age</li>
</ul>
</div>
4. 캐스케이딩 : css 우선순위 결정하는 세가지 요소
1) 순서 : 더 아랫줄에 쓴 코드가 우선순위가 높음
2) 디테일 : 선택자의 위치를 더 구체적으로 작성
3) 선택자 : style > id > class > type(tag)
* 실무에서 다른사람의 코드를 수정할 때 우선순위를 많이 이용함.
5. css 주요속성
1. width, height
* 단위 : px, %, em, rem 등
* 가변단위를 사용할 때 기준은 부모태그이다.
2. font
1) font-size : 글자크기
2) font-family : 글꼴설정, 브라우저마다 지원하는 폰트 다름.
* sans-serif를 마지막에 작성 <- 모든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므로 디폴트입력
3) font-style : italic
4) font-weight : 글자두께 100~900
3. border
1) border-style : 테두리 스타일 solid, dotted,
2) border-width : 테두리 굵기
3) border-color : 테두리 색상
4) border : style width color을 순서상관없이, 쉼표 사용없이 쓸 수 있다.
4. background
1) background-color : 배경 색상
2) background-image : url(이미지경로)
3) background-repeat : 이미지 반복여부 및 반복방법
4) background-position : 이미지의 위치, 좌표
5) background : 순서, 쉼표 상관없이 속성값을 줄수 있음.
[웹사이트의 레이아웃] : css레이아웃을 이용해 구성요소들 배치
1. 박스모델 : 공간을 border를 기준으로 margin, padding을 나누는 모델
1) margin : border 바깥 영역
2) padding : border 안쪽, content 바깥 영역
* padding을 주면 기존에 주어진 넓이와 높이에 영역이 추가된다.
3) border : 테두리
4) content : 내용
2. Block요소와 Inline요소
1. Block요소 -> width, height, margin, bottom 값 적용됨.
▷ p, header, div, h1~h6,
2. Inline 요소 -> width, height, margin과 padding의 top, bottom이 적용안됨.
▷ a, span
3. 마진 병합 현상
1. 형제간의 마진병합 : 형제관계인 태그들에 마진을 줄 경우, 더 큰 값만 적용된다.
2. 부모자식간의 마진병합 : 자식에게 마진값을 줬을 때 부모에도 적용된다.
4. 레이아웃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
1. display : 원래 태그의 block, inilne 성격을 바꿀 수 있다.
2. float : 띄워서 새로운 레이어층을 만들 수 있다.
* 왼쪽에 연속으로 정렬하려면 각 요소에 float:left를 줘야함.
3. clear : float을 사용했을 때 레이어층이 겹치는 현상을 돌려줌.
* 마지막으로 float을 사용한 태그 다음 태그에 주면됨.
* both 값을 주면 float : left, right 모두를 리셋함.
4. html, body 태그는 기본 margin, padding값을 가지므로 처음에 margin, padding값을 초기화 해줘야함.
*{ margin : 0; padding: 0; }'엘리스 ai트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기초 (0) | 2022.01.18 |
---|---|
Git (0) | 2022.01.15 |
반응형 웹 (0) | 2022.01.13 |
[css] Transform Transition Animation (0) | 2022.01.13 |
[mac] SSH로 git 계정 여러개 등록하기 (0) | 2022.01.13 |